본문 바로가기

책 : 어른의 재미 - 진영호 / 클레이하우스(주) / 2022년

by 나를단련 2022. 4. 7.

밀리의서재 베스트셀러 책 제목을 보니까 맨 1위에 '어른이 재미'라는 책이 올라와 있었다.
어른이 재미라는 것이 과연 무엇일까 궁금해하며 책을 읽었다.

저자는 금융업계와 교수로 재직을 하다가 정년을 앞두고 책을 쓴 것 같다.
후배들과 폭넓은 젊은 사람들에게 자신의 인생 철학과 살아온 방향이 참고가 될 수 있도록 자세한 상황과 예시를 통하여 잘 설명해 주었다.

때론 나도 나의 자녀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그런 이야기를 하고 싶을 때가 있다. 그러나 나 스스로가 이렇게 폭넓은 또는 깊은 생각을 아직 정리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주저함이 있었는데 작가의 이런 글들을 보니 '많은 준비와 노력이 필요했었겠구나' 라는 생각이 든다.

책을 다 읽고 나서 다시 목차를 들여다 보니 크게 네 가지의 주제를 가지고 단락 단락 엮어 만든 글이다.

재미, 균형, 관계, 운명

작가가 서론에서도 밝혔듯이 많은 일반적이지 않은 엄청나게 훌륭한 사람들이 써놓은 자기계발서와 성공의 비법이 담긴 책들이 많은데 반하여 작가는 가장 일상적이고 평범한 삶을 살았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보았을 때는이 일상적인 삶을 산 작가의 수준조차도 보통의 일상을 뛰어넘는 높은 기준이라고 생각이 들었다.
금융기관에서 평생을 근무하고 CEO가 되고 교수가 된다는 건 지극히 일상적인 모습은 아닐 것 같다.

그렇지만 책을 읽어 보면 매우 겸손하다는 느낌을 받게 되었다. 어쩌면 그렇게 때문에 베스트셀러라는 책이 되지 않았을까라는 생각도 해본다.

진짜 하고 싶은 것을 해본다.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은 한계가 있다. 그 한계가 있는 시간 안에 무엇을 하며 살아가야 될 것인가를 깊이 고민해 본다. 이것이 잠깐 생각했다고 해서 바로 '아! 이 것이 내가 진짜 하고 싶은 거야!' 라고 말할 수 없을 것이다. 지금 나는 과연 무엇을 진짜 하고 싶은 것인가?
그 진짜 하고 싶은 것을 발견하는 것이 90 이라면 진짜 하고 싶은 것을 해보는 것이 10일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그러나 그렇게 진지하고 궁극적인 것이 아닐지라도 언뜻 머리에 스쳐 지나가는 해 보고 싶은 것을 해보는 것도 중요할 것 같다.

즐거움의 포트폴리오를 만든다.

하고 싶은 것 그리고 나에게 즐거움을 주는 것은 무엇일까?
최근에 CGV 영화관에서 아이맥스 영화를 보았다. 아이맥스 영화는 집에서 볼 수 있는 차원을 넘는 큰 화면과 웅장한 사운드를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고 나면 가슴이 뻥 뚫린다.
그리고 나이가 들어 가면서 건강을 신경 쓰지 않을 수 없는데 최근에 가족과 주변 걷기 길을 함께 걷는 것도 즐겁다.
또 생각 중에 하고 싶은 것과 즐거운 것을 생각해 보니 창원 둘레길을 걷는 것을 다시 해 보고 싶다. 이것은 나에게 건강과 또한 둘레길 걸으면서 책을들을 수 있는 좋은 시간을 준다.
이 정도 세 가지의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살면 지루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그러나 그런 즐거움을 주는 것에서도
담배, 도박 등 부정적인 것은 자신의 의지로는 제어하기에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아예 시작을 하지 않는다.

그리고 혹시 중독이 되었으면, 중독이 가진 학습패턴의 연결 고리를 끊자. 중독되면 재미는 끝난다. 중독되면 노예의 삶이된다. 진정한 즐거움은 절제해야 한다.
환경을 바꾸어 피할일을 피한다. 작은 잘못을 고쳐서 큰 잘못을 미리 막는다.

기본을 잘 지켜야 한다. 태도가 중요하다. 적시적인 결정을 미루지 않는다.

관계의 변화를 인정하고 새로운 관계를 만들어 간다.
관계를 만들기 위해서 대화 방법은 단답형이 아닌 상대의 관심에 가벼운 좋은 질문을 한다.
상대방의 좋은 변화에 관심을 갖고  대화의 연속성을 찾는다. 먼저 배려하여 스몰토크에 익숙해지자.
평소에 아무 목적없이 연락한다.

일을 진행할 때는 혼자 하지말고 확인의 과정을 거쳐라.
다른 사람이 궁금하지 않은 것을 일부러 이야기할 필요는 없다 내가 주인공이 아닌 다른 사람을 주연으로 만들고 내 이야기는 상대방이 궁금해 하는 것만 간결히 말한다.

다음과 같은 건배사를 소개하는데 귀에 들어온다.

'빠'지지 말고
'삐'치지 말고
'용'서하며 살자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을 중용을 지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많은 석학들이 중용의 대한 이야기를 한다.
'과유불급'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

항상 긍정적인 마음과 태도로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해야 할 일 하고 싶은 일을 잘 구별해서 하는 인생을 살아가야겠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