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송연 선생27

05강 [문학1] 사막을 같이 가는 벗 - 강송연 선생 / 기초 EBS 중학 뉴런 국어1 복습 1. '오우가'에서는 다섯 자연물을 친구로 (의인화) 하여 표현함으로써 자연에 대한 사랑과 인간이 지녀야 할 덕성에 대해 노래하였다. 2. '오우가'에서는 '물'의 영원함, '바위'의 (불변성), '소나무'의 지조와 절개, '(대나무)'의 욕심 없음과 지조, '달'의 밝고 과묵함을 통해 바람직한 인간상에 대한 시인의 생각을 드러냈다. 3. '오우가'는 조선 시대에 쓰인 (시조)로, 형식적 특성을 맞추기 위해 종장의 첫 음보를 세 글자로 구성하였다. ⭐ 수필(隨筆) 일정한 형식을 따르지 않고 인생이나 자연 또는 일상생활에서의 느낌이나 체험을 생각나는 대로 쓴 산문 형식의 글. ⭐ 수필의 특성 "누구나, 자유롭게, 무엇이든!" 1. 형식에 제약이 없다. 2. 소재가 다양하다. ; 신변잡기적 3. 비전문.. 2022. 9. 23.
04강[문학1] 오우가 - 강송연 선생 / 기초 / EBS중학 뉴런 국어1 복습 1. 상징이란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을 드러내지 않고 다른 사물로 대신하여 표현하는 방법으로, 주로 (추상적)인 대상을 (구체적) 사물로 표현한다. 2. '새로운 길'에서는 시어 '길'을 통해 인생을, '(내)'와 '(고개)'로 고난과 시련을, '(숲)'과 '(마을)'로 희망과 평화를 상징하였다. 3. '새로운 길'에서는 시의 첫 부분과 끝부분에 같거나 비슷한 내용의 구절이나 문장을 배치해 반복하는 (수미상관)을 통해 의미를 강조하고 운율을 형성하였다. ㅁ 시조 고려 중기에 형성되어 고려 말~조선 초기에 완성된 우리 민족 고유의 정형시의 하나 이런들 v 어떠하며 v / 저런들 v 어떠하리 v / ; 초장 만수산 드렁칡이 / 얽어진들 어떠하리 / ; 중장 우리도 이같이 얽어져 / 백년까지 누리리라. /.. 2022. 9. 21.
03강 [문학1] 새로운 길 - 강송연 선생 / EBS 중학 / 뉴런 국어1 복습 1. 비유란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을 다른 대상에 (빗대어) 표현하는 것이다. ; 원관념과 보조관념 사이에 유사성이 필요하다. 2. '포근한 봄'에서는 '봄눈'의 포근함을 (봄빛)에, 봄눈의 보드라움을 새끼 고양이의 눈에 빗대어 표현하였다. 3. '포근한 봄'에서는 비슷한 문장 구조의 반복을 통해 (운율)을 형성하였다. 새로운 길 - 윤동주 / 1938. 5. 내를 건너서 숲으로 고개를 넘어서 마을로 [ ▷ 내와 고개를 지나 숲과 (마을)로 감.('나'의 여정) * 내, 고개 : 인생의 고난, 시련 * 숲, 마을, 희망과 평화 * 문장 구조 반복을 통해 운율을 형성함.] 어제도 가고 오늘도 갈 나의 길 새로운 길 [ ▷ '나'는 새로운 (길)을 감.(길의 의미) * 길 : 인간의 삶, 인생 * 과거로.. 2022. 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