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노트/중1학년 국어

03강 [문학1] 새로운 길 - 강송연 선생 / EBS 중학 / 뉴런 국어1

by 나를단련 2022. 9. 20.

복습

1. 비유란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을 다른 대상에 (빗대어) 표현하는 것이다. ; 원관념과 보조관념 사이에 유사성이 필요하다.

2. '포근한 봄'에서는 '봄눈'의 포근함을 (봄빛)에, 봄눈의 보드라움을 새끼 고양이의 눈에 빗대어 표현하였다.

3. '포근한 봄'에서는 비슷한 문장 구조의 반복을 통해 (운율)을 형성하였다.

 

새로운 길 - 윤동주 / 1938. 5.

 

를 건너서 으로

고개를 넘어서 마을

[ ▷ 내와 고개를 지나 숲과 (마을)로 감.('나'의 여정)

  * 내, 고개 : 인생의 고난, 시련

  * 숲, 마을, 희망과 평화

  * 문장 구조 반복을 통해 운율을 형성함.]

 

어제도 가고 오늘도 갈

나의 새로운 길

[ ▷ '나'는 새로운 (길)을 감.(길의 의미) 

  * 길 : 인간의 삶, 인생

  *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이어져 온 인생]

 

민들레가 피고 까치가 날고

아가씨가 지나고 바람이 일고

[  ▷ 길을 가며 (민들레), 까치, 아가씨, 바람을 만남.(길의 풍경)

  * 민들레, 까치, 아가씨, 바람 : 인생의 길에서 만나는 다양한 존재들

  * '~고'의 문장 구조 반복으로 (운율)을 형성함.

  * 반복되는 매일에서도 스쳐 지나가는 것에 관심을 가짐 → 언제나 새로움, 희망을 줌.]

 

나의 길은 언제나 새로운 길

오늘도 ...... 내일도 ......

[ ▷ 언제나 (새로운) 길을 가고자 함.(길의 의미)

  * 2연과 형태는 다르지만 같은 내용으로 구성됨.

  * 앞으로도 새로운 마음으로 길을 가겠다는 소망과 의지]

 

내를 건너서 숲으로

고개를 넘어서 마을로

▷ 내와 (고개)을/를 지나 숲과 마을로 감.('나'의 여정)

 * 1연과 같은 내용을 반복함. → 3연을 중심으로 하는 대칭적 구조

 * 수미상관(首尾相關) : 시의 첫 부분과 끝 부분에 같거나 비슷한 구절, 문장을 배치하여 반복하는 구성

    - 형태적 안정감을 부여함.            - 의미를 강조함.

    - 운율을 형성함.                           - 시적 여운을 남김.]

 

윤동주(1917.12.30.~1945.2.16.)

북간도 명동촌 출생으로 15세 때부터 시를 쓰기 시작하였다.
1938년 연희전문학교 문과에 입학하였으며, 이후 일본 유학을 떠났다.
1943년 독립운동 혐으로 검거되었으며 1945년 2월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옥사하였다.
그의 시들은 사후에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라는 제목의 시집으로 출간되었다.
어두운 현실과 역사에 대한 자각을 바탕으로 자아를 성찰하는 내용의 시를 많이 남겼으며, 민족의 양심을 드러낸 저항 시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ㅁ 내용 연구

  ㅇ 말하는 이의 상황과 태도

      상황 : 인생의 길을 걸어가고 있음.

                                ↓

      태도 : 새로운 마음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고자 함.

 

* 말하는 이 : 상황, 정서 → 태도 → 주제

 

  ㅇ 상징적 의미를 지닌 시어

    길 :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걸어가야 함 → 인생

    내와 고개 : 길을 가면서 건너야 하고 넘어야 하는 것 → 고난과 시련

    숲과 마을 : 어려움을 이겨 내고 나아갈 곳 → 희망과 평화

 

  ㅇ 수미상관의 효과

      : 시의 첫 부분과 끝부분에 같거나 비슷한 내용의 구절이나 문장을 배치해 반복하는 구성

      → 전체적으로 형태적 안정감을 주며, 비슷한 내용을 반복하기 때문에 의미를 강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반복되는 구절을 통해 운율을 살릴 수 있으며, 시적 여운을 남기기도 한다.

 

ㅁ 한 눈에 보기

  ㅇ 갈래 : 자유시, 서정시

  ㅇ 성격 : 상징적, 감각적

  ㅇ 운율 : 내재율

  ㅇ 제재 : (길)

  ㅇ 주제 : 언제나 새로운 길을 가려고 다짐하는 마음

  ㅇ 특징 :

      - 상징적 이어를 중심으로 시상을 전개함.

      - 3연을 중심으로 앞뒤가 대칭적인 구조를 보여 줌.

      - (수미상관)의 구성으로 이루어짐.

      - 일정한 위치에서 반복되는 소리를 통해 운율을 형성함. 

 

문제

 

01. 이 시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ㅇ

ㄱ 상징적 의미를 지닌 시어를 사용하고 있다.

ㄴ 전체 내용이 '길'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

ㄷ 인생을 대하는 말하는 이의 태도가 드러나 있다.

ㄹ 다양한 비유적 표현을 통해 주제를 강조하고 있다.

ㅁ 3연을 중심으로 앞과 뒤가 내용상 대칭을 이루고 있다.

 

답 : ㄹ

 

02. 이 시의 분위기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ㅇ

ㄱ 여유롭고 행복한 느낌을 준다.

ㄴ 우울하고 답답한 느낌이 든다.

ㄷ 경쾌하면서 강한 의지가 느껴진다.

ㄹ 엄숙하고 장엄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ㅁ 분주하면서 열정적인 분위기가 보인다.

 

답 : ㄷ

 

03. 3연에 쓰인 소재들의 의미로 적절한 것은? ㅇ

 

민들레가 피고 까치가 날고

아가씨가 지나고 바람이 일고

 

ㄱ 말하는 이의 마음속 풍경

ㄴ 말하는 이가 굼꾸는 이상향

ㄷ 말하는 이가 겪게 되는 고난

ㄹ 말하는 이의 행복했던 어린 시절

ㅁ 말하는 이가 만나는 다양한 존재들

 

답 : ㅁ

 

04. 4연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ㅇ

 

나의 길은 언제나 새로운 길

오늘도...... 내일도......

 

ㄱ 2연의 변화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ㄴ 주제 의식이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ㄷ 말하는 이의 소망과 의지가 담겨 있다.

ㄹ 말줄임표를 사용하여 여운을 남기고 있다.

ㅁ 시대적 상황에 대한 안타까움이 드러나고 있다.

 

답 : ㅁ

 

중요, 서술형

05. 다음은 ㄱ과 ㄴ의 함축적 의미에 대해 발표한 내용이다.

      빈칸에 들어가기에 적절한 내용을 하나의 문장으로 완성하시오.

<보기>
'내'는 시내보다는 크지만 강보다는 작은 물줄기로 건너기가 쉽지않고, '고개'는 비탈진 곳으로 넘어가기가 쉽지 않은 험난한 곳입니다. 그렇다면 '내'와 '고개'는 '(       )'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답 : 살아가면서 만나게 되는 고난과 시련을 의미한다.

 

"인생은 가까이서 보면 비극이지만 멀리서 보면 희극이다" - 찰리 채플린


하루 한편 보는 것도 쉽지는 않지만

그래도 매일매일 시 하나씩 배우는 즐거움이 있다.

이렇게 한걸음씩 나가다 보면 언젠가는 목표에 도달하겠지?

국어에 서술형 문제는 생각보다 쉽지 않은 것 같다.

차분하게 잘 읽어 보아야겠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