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노트/중1학년 국어

12강 [문학3] 서시 - 강송연 선생 / [기초] EBS 중학 뉴런 국어1

by 나를단련 2022. 10. 7.

복습

 

1. 문학과 삶

 

ㅁ 문학 작품 속에 나타난 여러 인물들의 다양한 모습들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며 읽음

ㅁ 작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한 후, 그것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 봄.

ㅁ 문학 작품 읽기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삶에 대해 생각해 보며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음.

 

2. 문학 작품을 읽고 자신의 삶 성찰하기

 

ㅁ 문학 작품을 읽으면서 작중 인물(또는 말하는 이)의 경험이나 성장 과정을 파악함.

              ↓

ㅁ 작품 속에서 작중 인물(또는 말하는 이)의 태도나 성찰 내용을 파악함.

              ↓

ㅁ 문학 작품 읽기 과정에서 얻은 깨달음을 바탕으로 자신의 삶을 성찰함.

 

질문

 

"이 시에서 '별'과 '바람'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이 시에서 말하는 이는 무엇을 성찰하고 있나요?"

 

읽기

 

서시 - 윤동주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 가는 것을 사랑해야지

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

오늘 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 도덕적 판단의 기준이 되는 존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 말하는 이가 소망하는 삶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 - 과거의 삶에 대한 성찰

☞ 부끄럼이 없는 삶에 대한 소망(과거)

ㅇ 말하는 이의 태도와 성찰 :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는 순수한 삶을 지향함.

     → 아주 작은 시련에도 바람에 흔들리는 잎새처럼 흔들렸던 지난 삶을 성찰함.

 

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 말하는 이가 소망하는 순수하고 이상적인 삶
모든 죽어가는 것사랑해야지 - 고통받으며 살고 있는 모든 것
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 자신에게 주어진 숙명이나 역할
걸어가야겠다. 의지적

☞ 자신의 길을 걸어가겠다는 의지(미래)

ㅇ 말하는 이의 순수함과 의지적 태도 : 살아 있는 모든 존재를 아끼고 사랑하고 싶어 하는 말하는 이의 순수함과 자신에게 주어진 사명을 완수하며 부끄럽지 않은 삶을 살고자 하는 의지가 드러남.

 

오늘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 현재, 어두움 / 어두운 현실, 외부적 시련

☞ 어두운 현실 속에서도 별처럼 빛나는 양심(현재)

ㅇ 말하는 이의 양심을 지키고자 하는 의지 : 고난과 시련이 많은 어두운 현실에서도 외로이 빛나는 별처럼 양심을 지키고자 함.

 

내용 연구

 

ㅁ 시의 시상 전개

  ㅇ 과거 : 과거의 삶에 대한 성찰

               ↓

  ㅇ 미래 : 미래의 삶에 대한 의지

               ↓

  ㅇ 현재 : 현재의 부정적 상황

 

◈ 시어의 상징적 의미

ㅁ 현실

  ㅇ 밤 : 말하는 이가 처한 어두운 현실

  ㅇ 바람 : 말하는 이를 힘들게 하는 외부적 시련

             ↕

ㅁ 이상

  ㅇ 하늘 : 말하는 이의 도덕적 판단의 절대적 기준

  ㅇ 별 : 말하는 이가 소망하는 순수하고 이상적인 삶

  ㅇ 길 : 말하는 이가 걸어가야 할 숙명, 역할

 

◈ 시대적 상황과 시인의 태도

ㅁ 상황 : 일제에 의해 나라를 빼앗긴 암울한 현실에서 지식인으로서의 자신의 삶을 성찰함.

ㅁ 성찰내용 : 모든 살아 있는 것을 사랑하는 순수한 마음으로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을 다하며 살겠다는 의지를 드러냄.

               ↓

ㅁ 시어의 의미 : '나한테 주어진 길' - 지식인으로서 빼앗긴 나라를 위해 해야 할 일

 

한 눈에 보기

 

'서시', 윤동주

ㅁ 갈래 : 자유시, 서정시

ㅁ 성격 : 성찰적, 고백적, 의지적, 상징적

ㅁ 운율 : 내재율

ㅁ 제재 : 별

ㅁ 주제 : (부끄럼)이 없는 삶에 대한 소망과 의지

ㅁ 특징

  ㅇ '(과거)-(미래)-현재'의 시간 변화에 따라 시상이 전개됨.

  ㅇ 상징적 의미의 시어를 대립적으로 사용해 주제를 효과적으로 드러냄.

  ㅇ 말하는 이의 (성찰)과 소망이 직접적으로 드러남.

 

문제

 

01. 이 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대화 형식의 구성을 사용하여 극적인 효과를 주고 있다.

② 의성어와 의태어를 사용하여 대상을 생동감 있게 표현하고 있다.

③ 과거부터 현재까지 시간의 순서를 따르며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④ 대조적인 이미지의 시어를 사용하여 시적 상황을 드러내고 있다.

⑤ 색채를 드러내는 시어를 사용하여 대상을 선명하게 묘사하고 있다.

 

답 : ④

해설

① 독백

③ 과거 → 미래 → 현재

 

02. 이 시의 말하는 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말하는 이는 과거의 행복했던 추억을 그리워하고 있다.

② 말하는 이는 자신이 처한 상황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

③ 말하는 이는 다른 사람과 비교하면서 자신의 삶을 성찰하고 있다.

④ 말하는 이는 자연 속에서 여유를 즐기며 사는 생활을 꿈꾸고 있다.

⑤ 말하는 이는 바람직한 삶을 살고자 하는 의지와 소망을 가지고 있다.

 

답 : ⑤

해설 : 말하는 이 - '나'

② 밤

 

중요

03. 이 시를 읽고 난 독자의 반응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세상은 나 혼자 살아가는 것이 아니야.

     주변의 사람들을 사랑하는 마음이 필요해.

② 별은 어두운 곳에서 빛을 내는 거야.

     밝음보다 어둠을 사랑하는 마음을 가져야 해.

③ 세상에는 나에게 주어진 역할이 있을 거야.

     그 역할에 최선을 다하는 것도 중요해.

④ 자신의 지난 행동을 되돌아보는 것이 앞으로의 삶을

     계획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겠어.

⑤ 지금 내가 처한 상황이 힘들고 어렵더라도 올바른 삶을

     살겠다는 마음은 변치 않아야 해.

 

답 : ②

해설

② 밤 : 어두운 현실

③ 길

④ 성찰

⑤ 밤, 바람 → 별, 길

 

서술형

04 ㉠과 <보기>의 밑줄 친 시어의 유사점을 <조건>에 맞게 서술하시오.

<보기>
맞아 휘어진 대를 뉘라서 굽다턴고.
굽을 절(節)이면 눈 속에 푸를소냐.
아마도 세한고절(歲寒高節)은 너뿐인가 하노라.
- 원천석
<조건>
ㆍ'눈'과 '바람'은 공통적으로 (       )(이)라는 의미를 지닌다.'의 형식으로 서술할 것.

 

답 : '눈'과 '바람'은 공통적으로 고난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정답 : '눈'과 '바람'은 공통적으로 외부로부터의 시련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해설

㉠ : 바람

*세한고절(歲寒高節) : 한겨울의 추위도 견뎌 내는 높은 절개

 

핵심 정리 노트

 

▣ '서시', 윤동주

 

1. 시적 화자의 상황과 태도

ㅁ 상황 : 일제에 의해 나라를 빼앗긴 암울한 현실에서 지식인으로서의 지신의 삶을 성찰함.

ㅁ 성찰 내용 : 모든 살아 있는 것을 사랑하는 순수한 마음으로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을 다하며 살겠다는 의지를 드러냄.

 

2. 시어의 상징적 의미

ㅁ 현실

  ㅇ 밤 : 말하는 이가 처한 어두운 현실

  ㅇ 바람 : 말하는 이를 힘들게 하는 외부적 시련

                ↕

ㅁ 이상

  ㅇ 하늘 : 말하는 이의 도덕적 판단의 절대적 기준

  ㅇ 별 : 말하는 이가 소망하는 순수하고 이상적인 삶

  ㅇ 길 : 말하는 이가 걸어가야 할 숙명, 역할

 

다른 사람을 헤아려 비평하려거든 먼저 모름지기 자신부터 헤아려 비평하라. / 명심보감

 


아는 만큼 보인다고 했던가?

요즘은 드라마를 보다가도 갈등의 양상을 생각하며 보고 있다.

내적 갈등과 외적 갈등 ㅎㅎ

그러나 역시 막상 시작하면 진행이 되지만, 시작하지 않으면 겉돌게 된다.

어떻게 해야 주저함 없이 앞으로 전진할 수 있는 습관을 들일지 고민해 본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