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경제 : 주식초보 주식 사고팔기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

by 나를단련 2020. 7. 29.

어제오늘 삼성전자 주가가 갑자기 많이 올라 그동안 침체되어있던 주식을 일부 매도하여 수익을 냈다.
언제 사고, 언제 팔아야 될까는 주식이나 부동산을 하는 입장에서는 늘 고민스러운 주제이며, 여러 가지 보조지표를 잘 읽어서 선택할 수 있는 기준을 잡아야만 낮은 가격에 사서 높은 가격에 팔 수 있는 것이다.

자동차 내비게이션이 있어서 어느 곳이든 두려움 없이 나설 수 있었던 것과 같이, 손안에 스마트폰은 주식시장 조차도 문턱을 낮추어 누구나 쉽게 적은 돈으로도 경제의 흐름을 맛볼 수 있는 너무 좋은 시대가 된 것 같다.

그래서 지난 몇개월 동안 주식을 사고팔기 위해 참고한 보조 지표에 대하여 다시 공부해보고자 한다.
아래 내용은 나무위키에서 검색해서 정리해 보았다.

RSI(Relative Strength Index) 지표

가격의 상승압력과 하락 압력 간의 상대적인 강도를 나타낸다.
일정 기간 동안 주가가 전일 가격에 비해 상승한 변화량이 크면 과매수로, 하락한 변화량이 크면 과매도로 판단하는 방식이다.
이 지표의 파라메터로 기간을 며칠 동안으로 할 것인가인데, 개발자인 웰레스 와일더는 14일을 사용할 것을 권유했다.
대체로 9일, 14~15일, 25~28일 등을 사용한다.
RSI 그래프는 이동평균선을 함께 나타내는 것이 보통인데, RSI를 15일에 대하여 구하고, 5일 이동평균선을 함께 표시하는 경우 그래프에 (15, 5)라고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유사한 지표로 스토캐스틱이 있는데, RSI 그래프의 형태가 fast stochastic과 비슷하게 나온다.

웰레스 와일더는 70% 이상을 초과매수 국면으로, 30% 이하를 초과매도 국면으로 규정했다.

이익을 내기 위한 전략으로

1.
RSI가 70%를 넘어선 후 머물러 있다가 다시 70%를 깨고 내려오면 매도를,
RSI가 30% 밑으로 내려가 머물러 있다가 다시 30% 이상으로 올라오면 매수하는 방식으로 적용한다.

다이버전스란 가격은 상승하여 신고가를 갱신하였지만 RSI 지표는 전 고점을 갱신하지 못하는 현상으로, 이는 추세가 약화됨을 의미한다. 강력한 매매신호이다.

*신고가는 주가가 일반적으로 52주동안에 없었던 높은 가격을 기록했을 때 그 가격을 말하며, 신고가의 다른 의미는 세력이 존재한다는 의미이다.
장기투자를 하려는 사람들은 반드시 신고가가 났거나 날 것 같은 종목만 매매해야 수익을 낼 수 있다.

2.
RSI가 50%를 상향 돌파하면 매수, RSI가 50%를 하향 돌파하면 매도하는 식의 방법으로 매매할 수 있다.

주가는 상승하고 있지만 RSI는 하강하는 식으로, RSI가 가격 변동과 역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주가가 천정에 다다랐을 때는 추세가 꺾이기 쉽다. 주가 하락 시 RSI가 상승하는 반대의 경우는 추세가 반등하기 쉽다.

이동평균선 Moving Average

과거의 평균적 수치에서 추세현상을 파악하여 현재의 매매와 미래의 예측을 돕는다.
단기이평이 상승하고 있는데 위에서 장기이평이 하락하고 있다면 대부분의 경우 돌파하지 못하고 하락하게 된다.

20일 이동평균선을 예로 들면
이동평균선이 상승하고 있으며 주가가 이동평균선 위에 있을 시 이는 대부분의 매매 참여자가 이익을 내고 있는 중이라는 뜻과 같다.
반대로 20일 이동평균선이 하락하며 주가가 이평선 아래에 있을 시 이는 대부분의 매매 참여자가 손실을 보고 있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단기 이평이 장기이평의 위에 위치할 때 정배열이라고 하고 반대일 때는 역배열이라고 한다. 정배열일 때는 주가가 하락할 때마다 저가 매수세가 출현하며 또다시 상승파동이 나타나게 된다.
MACD지표는 5, 10, 60일 이동평균선과 비슷하다.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 Divergence)
이동평균 수렴 확산지수

MACD는 장단기 이동평균선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매매신호를 포착하려는 기법으로 흔히 주가 추세의 힘, 방향성,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MACD가 양으로 증가하면 매수한다.
MACD가 시그널을 골드크로스 하면 매수한다.
MACD가 0선을 상향 돌파하면 매수한다.

이후 내용은 주식초보자인 나의 개인적인 생각을 기록해 놓은 것이니, 참고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오늘은 여기까지 다시 보며 복기하고 있다. 앞으로 매매할 때 다시 한번 참고할 생각이다.
아래는 삼성전자 매도시 보조지표를 활용한 예이다.
RSI가 70을 넘어 78.38까지 진행 중이고 아직도 올라가고 있는 추세이지만, 내가 개인적으로 목표를 정해 놓은 것을 달성했기 때문에 일부 매도하였다.

삼성전자 매도후 새로운 종목을 찾던 중
오리온은 RSI가 30 아래로 25.76으로 떨어져 있는 상태이나, 슬로 스토캐스틱 지표가 10.86으로 올라가는 신호를 보여주므로 가격이 저점으로 떨어져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일부 매수를 하였다.


그러나 단순하게 두세 가지 보조지표로 미래 주가와 추세를 예상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아주 형편없는 기업에 투자하여 손실을 볼 수도 있기 때문에, 돈을 투자한다는 것을 그 회사와 운명공동체로 맺어진다는 생각으로 내가 익숙한 회사에 투자하고 계속해서 관심을 가져야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그리고 차트를 확인할 때 일봉 차트를 보는 것은 비교적 짧은 주기로 그래프를 분석하여 투자의 기본적인 흐름을 익히고자 하는 생각도 있다. 예를 들어 오리온이 4월, 7월 중순경에 RSI가 일시적으로 70을 돌파하면서 주가가 올라갔던 것을 보고 향후 15일 또는 1분기 이내에 다시 기회가 올 것으로 예상하며, 만약 그렇지 않더라도 장기전이 될 때 버틸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