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노트/중1학년 국어

24강 [읽기1] 예측하며 읽기 - 강송연 선생 / [기초] EBS 중학 뉴런 국어1

by 나를단련 2022. 11. 5.
<첫째 마당> 문학
1. 비유와 상징의 표현 효과
2. 갈등의 진행과 해결 과정
3. 문학과 삶의 성찰
<둘째 마당> 문법
1. 언어의 본질(6)과 국어의 어휘체계
- 기호성, 자의성, 사회성, 역사성, 창조성, 규칙성
- 국어의 어휘 체계 :(어원에 따라)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 국어의 어휘 양상 : 표준어, 방언
2. 국어의 품사와 특성
- 의미에 따라 : 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조사, 동사, 형용사
<셋째 마당> 읽기
1. 예측하며 읽기
2. 요약하며 읽기
3. 자료를 활용하며 읽기
ㅁ '예측' 이란 : 미리 헤아려 짐작함.
<우리의 생활 속 예측>
ㅇ(양 팀 간 전적, 현재 성적 등)을 바탕으로
  (프로 야구 경기 결과) 예측
ㅇ(현재 배터리의 양, 충전 속도 등)을 바탕으로
  (충전 완료까지 걸리는 시간) 예측
ㅇ(공부한 시간, 나의 이해도 등)을 바탕으로
  (시험 성적) 예측
ㅁ '예측하며 읽기'란?
  ㅇ 독자가 (자신의 지식이나 경험, 글 속의 정보, 내용의 흐름 등)을 바탕으로 (언급되지 않은 내용이나 이어질 내용 등)을 미리 짐작해 보는 것으로 능동적, 적극적 읽기 방법의 하나
ㅁ '예측하며 읽기'에 활용할 수 있는 정보
  ㅇ 배경지식과 경험 : 독자가 이미 알고 있는 기본적인 지식이나 경험
  ㅇ 글에 나타난 정보 : 글의 제목, 삽화, 겉표지, 구성 방식, 글의 종류 등
  ㅇ 다양한 읽기의 맥락 : 글의 흐름, 사회·문화적 상황 등 글과 관련된 외적인 상황 맥락 등
ㅁ '배경지식' 이란?
  ㅇ 뜻 : 우리의 기억 속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경험)과 (지식)의 총체
  ㅇ 역할
    - 정보를 (선택적)으로 받아들이게 함.
    - 여러 정보들을 일관성 있는 형태로 재구성함.
  ㅇ 독서와의 관계
    - 글을 읽을 때, 의미를 (재구성)하는데 도움을 주고, 독서를 통해 기존의 배경지식이 수정되기도 함.
    - 독서 후, 글의 내용을 배경지식으로 (저장)하여 다른 글 읽기에 활용함.
ㅁ '예측하며 읽기'를 통해 예측할 수 있는 항목
  ㅇ 글의 (구조)와 (결말)
  ㅇ 글쓴이의 (주장)과 (논지)
  ㅇ 글의 (목적)과 글쓴이의 (의도)
  ㅇ 글 속에 언급되지 않은 내용과 앞으로 (이어질 내용)
ㅁ '예측하며 읽기'의 필요성
1. 글 읽기의 (방향)과 (목적)을 정할 수 있어 읽기에 집중할 수 있다.
2. (배경지식)을 적극 활용하여 글의 내용을 더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다.
3. 수동적 읽기가 아닌 능동적·적극적 읽기로, 이해한 글의 내용을 더 잘 (기억) 할 수 있다.
4. 예측한 내용과 실제 글의 내용이 (일치) 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에서 글을 읽는 (재미)가 증가한다.
ㅁ '예측하며 읽기'의 방법
1. 글의 (종류)와 (형식)을 고려하며 읽는다.
  ㅇ 글의 종류나 형식 활용 방법
    - 기사문 : (표제), (부제), 사진 등을 참고하여 기사의 내용 예측
    - (논설문) :  제목과 문제 제기 등을 참고하여 글쓴이의 주장 예측
    - 설명문 : 일반적인 설명문의 내용 전개 방식을 참고하여 (글의 구조) 예측
2. 자신의 (배경지식)과 (경험)을 활용하여 읽는다.
  ㅇ 배경지식 활용 방법
    - 글과 관련한 자신의 배경지식이나 경험을 떠올린다.
    - 책이나 인터넷을 통해 글과 관련된 다른 배경지식을 탐색한다.
    - 독서를 통해 새롭게 알게 된 내용을 자신의 배경지식으로 기억한다.
3. 글에 나타난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며 읽는다.
  ㅇ 글에 나타난 정보 활용 방법
    - 글의 (제목) : 내용이나 주제 예측
    - 글의 소제목 : 내용이나 구조 예측
    - (삽화), 사진, 도표 : 글의 내용 예측
ㅁ 읽기 과정에 따른 '예측하며 읽기' ☆
​​
 ㅇ 읽기 전
    - 활용정보 : 제목, 차례, 글쓴이, 겉표지, 삽화 등
    - 예측내용 : 글의 내용, 목적, 글쓴이의 의도 등
 ㅇ 읽는 중
    - 활용정보 : 글에 나타난 정보
    - 예측내용 : 다음에 이어질 내용, 글의 구조나 결말, 생략된 부분 등
​​
 ㅇ 읽은 후
    - 활용정보 : 글의 전체 내용
    - 예측내용 : 글이 독자와 사회에 미칠 영향
+ 예로 개념 확인 +
[읽기 전 단계]
관계의 심리학
마음을 읽어 내는 관계의 기술 - 이철우
관계는 첫인상부터 시작된다.
[읽는 중 단계]
가설 검증 바이어스(편견)
[읽은 후 단계]
 
"나는 날마다 모든 면에서 점점 더 좋아지고 있다." / 에밀 쿠에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