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새순교회 온가족이 함께하는 맥추감사예배
강현우 목사
눅 17:11-19
우리는 감사가 사라져 버린 시대에 살아가고 있다.
우리 입에서는 불평함이 넘쳐난다.
하나님은 감사의 기도를 듣기 원하신다.
우리는 우리의 인생을 얼마나 감사하고 기뻐하며 살아왔는가?
오늘 말씀에는 열명의 나병 환자들이 나온다.
그들은 몸과 마음이 아팠다.
예수님에게 도움을 요청하였다.
예수님은 그들의 요청을 들어주셨다.
그리고 제사장에게 나가라고 하셨다.
그들은 모두 나병이 나았다.
열중에 한 사람만이 예수님 앞에 나가 감사의 인사를 했다.
이것은 상위 10% 감사일까?
우리는 기도 응답을 받고나서 감사하는 경우가 적다.
우리는 지금 어떤 어려움이 있는가?
우리의 어떤 어려움도 하나님께 기도하면 하나님께서 들어주신다.
나병환자들은 '불쌍히 여겨 주세요.'하고 기도했다.
우리는 기도응답 후 감사가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우리가 필요한 것은 기도 응답후에 감사가 필요하다.
아홉명의 나병환자는 자신들의 몸이 낫는 것에 집중하여 감사하지 못했다.
우리도 우리 자신에 집중하여 진정한 감사를 하지 못한다.
기복신당은 응답받은 후에 예수님을 잊는 것이 기복신앙이다.
신앙은 하나님과의 관계이므로 감사로 인한 서로의 인정이 중요하다.
하나님께 집중한 사람은 하나님께 감사하고, 다시 하나님께 집중할 수 있게 해준다.
딱 한사람이 감사와 예배의 자리에 나왔다.
하나님의 사랑하는 방식은 스스로 자원하는 마음으로 감사하길 바라신다.
그런 예배를 기뻐 받으신다.
감사하는 사람의 마음에 하나님의 나라가 임한다.
우리는 감사하지 않는다.
부모님께, 자녀에게, 배우자에게...
많은 절기가 있는 것은 그날 하루 만이라도 감사하며 살으라고 절기를 만든 것 아닌가?
마찬가지로 맥추감사절에 우리는 그날 만이라도 감사를 하도록 하고 있다.
마음으로만 하는 감사는 진정한 감사가 아니다.
입술로 감사하고, 표현해야 한다.
느낄 감, 사례할 사
感 謝
감사는 표현이 중요하다.
왜? 우리는 감사하다고 하지 않는가?
'감사'도 다 때가 있다.
시간이 지나면 감사가 사라지고, 다시 어려움이 찾아온다.
나중은 오지 않는다.
지금 감사가 필요하다.
감사는 더 큰 감사를 가지고 온다.
감사는 문이 열리고 길이 생긴다.
눅 17:19
1. 이미 주어진 은혜에 감사하자.
2. 모든 것이 하나님이 주신 귀한 선물이다.
3. 모든 것이 다 감사의 제목이다.
그 아홉은 어디 있느냐?
말씀을 기억하며 내가 아니라 주신 주님께 집중하는 삶을 살고 감사하며 살아간다.
카테고리 없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