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주식 : 주식호가창에서 체결강도가 무엇인지 알아봅니다.​

나를단련 2020. 3. 19. 18:00

안녕하세요?

나를단련한 후에 좀더 풍요로운 삶을 살아가기 위해 노력을 하고있는 김땡땡입니다.

 

오늘은 주식호가창에서 체결강도가 무엇인지 알아봅니다.

오늘 국내 증시가 19일 개장 이후 장중 동반 8%대 폭락(코스피 1500선, 코스닥 500선 붕괴) 하자 서킷브레이커와 사이드카가 코스피, 코스닥 시장에 동시 발동됐다고 합니다.

이렇게 동시 발동은 역대 두번째라고 하네요.

그만큼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경기침체로 사람들은 기업의 주식을 팔아 현금을 확보하려고 하는 게 아닌가 생각되구요, 그 중에서도 특별히 외국인들이 많이 팔고 우리나라 사람들이 그 떨어진 주식을 사게 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주가가 너무 많은 폭으로 하락하게 되니 정부에서는 시장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주식매매를 일시 정지하는 서킷브레이커를 발동하게 되었습니다.

사이드카는 프로그램으로 매매되는 호가를 관리하는 제도의 일종으로 주식시장에서 주가의 등락폭이 갑자기 커질 경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주식매매를 일시 정지시키는 제도로 서킷브레이커와 유사한 개념입니다.

그래서 주식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제가 삼성전자 주식 호가창을 들여다보고 있으니, 참 우울하게도 주가가 계속 떨어지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좌측하단에 체결강도라는 탭이 있는데 주식거래가 체결되는 강도인가 하며 궁금증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따라서 함께 알아보기 위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사진 : 호가창에 체결강도가 좌측 아래에 있습니다.

​체결강도는 이전가격대비 매수한 체결량을 이전가격대비 매도한 체결량으로 나누어 퍼센트(백분율)로 나타낸 수치입니다.

주가의 추세 및 강도를 분석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변수가 주식의 가격과 거래량입니다.

특히 거래량은 주가 대비 선행성을 보이는 특성을 갖고 있어서 거래량의 효율적인 활용여부는 곧 투자의 승패에 영향을 줍니다.

그와 더불어 거래량을 잘 활용하는 사람이 투자를 잘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거래량이 이렇게 중요한 정보를 내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거래량 변수는 일간 편차가 심하게 나타나며, 자전거래 등의 이상매매가 발생될 때는 인위적인 대량 거래가 수반되는 등 오히려 주가 예측을 왜곡 시키는 요인들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또한 거래량도 왜곡이 있기때문에 잘 보아야 합니다.​

체결강도 = (이전가격대비 매수체결량 / 이전가격대비 매도체결량) × 100​

단타의 승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체결강도를 함께 봐야 합니다.

체결강도는 거래량 보다 선행합니다.

거래량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체결강도를 봐야 합니다.

특히 당일 매수매도 할때 사용합니다.

매수와 매도의 체결량이 동일하면 체결강도는 100%가 됩니다.

주가로 환산하면 0%로 보합입니다.

매수체결량 대비 매도체결량의 비율에 따라

2:8 일때는 25%

5:5 같을때는 100%

8:2 일때는 400%

입니다.

즉 100%를 기준으로

체결강도가 100%보다 높으면 매수세가 강해 매수 체결량이 많다는 것으로서 지금의 시장가를 싸다고 믿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체결강도가 100%보다 낮으면 매도세가 강해 매도 체결량이 많다는 것으로서 지금의 시장가를 비싸다고 믿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으로 해석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내용은 체결강도는 증가하는데 주가는 하락한다면 의도적인 주가 누르기로 즉, 속임수 음봉입니다.

체결강도와 주가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고 체결강도가 급격히 하락하였을 때는 과매도(투매)이므로 곧 큰 반등이 나옵니다.

 

체결강도의 최대값은 500입니다.​

예를 들어서 A라는 종목이 현재가가 10,000원이고

호가가

9,900     10,100

9,800     10,200

9,700     10,300

이라면

누군가가 호가 10,100에 매수 주문을 넣었다면 체결강도가 올라갈 것이고

누군가가 호가 9,900원에 매도 주문을 넣었다면 체결강도는 내려갈 것입니다.

A종목의 체결강도 추이 데이터

현재가 창의 실시간 체결강도 확인​

사진 : 별도의 체결창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호가창만 보고도 매매가 가능합니다만,

체결강도 탭에서 빨강색은 현재가 보다 올려서 산 금액이고, 파랑색은 현재가 보다 내려서 산 주문입니다.

거래량이 증가되고 있을 경우 체결량을 봐야 합니다.

중요한 것은 올려사는 사람이 많은지 내려사는 사람이 많은지가 중요합니다.

단타매매에서 체결강도는 사람들의 심리를 알아봄으로 차트위치, 호가창, 체결창, 체결강도를 통해 판단하며

일봉차트를 보고 당일날 올라갈 수 있는 위치인가 확인합니다. 

​판단의 기준은 당일 이슈 뉴스 또는 호재 정보 등 강도가 굉장히 쎌때 매수에 들어갑니다.

참고

네이버 지식백과

개인투자자가 잘 모르는 체결강도 거래량보다 선행하는 단타 필수 지표 특강

단타(스켈핑) 최고의 보조지표 - 체결강도 매매 기법

체결강도는 도대체 어떻게 활용하는 거야?

단타시 최고의 지표는 체결강도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주식 #호가 #체결강도 #폭락 #서킷브레이커 #사이드카 #코스피 #코스닥 #코로나19 #경기침체 #현금 #우울 #궁금증 #좌측하단 #발동 #삼성전자 #거래량 #매수 #매도 #단타 #환산 #종목 #현재가 #과매도 #반등 #음봉 #시장가 #매매 #이슈 #뉴스 #호재 #정보 #개인투자자 #네이버 #거래량 #특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