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세선을 통한 매매 타이밍
네이버 증권으로 배우는 주식투자 실전 가이드북
주가는 일정 기간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려는 추세를 가진다.
이런 추세를 한눈에 알아보기 쉽게 차트에 나타낸 선을 추세선이라고 한다.
추세선을 그릴 때 중요한 것은 기간이다.
예를 들어 오늘의 주가를 기준으로 지난 4개월간의 추세를 그려보면 어떤 추세가 그려진다.
하락 추세선은 고점을 우하향 방향으로 연결하여 그리는 것이다. 하락 추세선은 다른 말로 '저항선'이라고 한다.
반대로 상승추세선은 주가의 저점을 우상향으로 연결한 선이다. 상승 추세선은 다른 말로 '지지선'이라고 한다.
기간에 따라 추세선은 변할 수 있는데, 자신의 투자 성향과 투자 기간에 따른 추세선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10년간 이 종목을 보유할 사람이라면 지난 9년간의 추세를 보면서 매매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몇 개월 정도 안에 적은 수익이라도 보고 싶은 사람이라면, 자신이 원하는 투자 기간에 따른 추세선을 그려보면서 투자에 활용하면 될 것이다.
추세선 분석을 위해서는 여러 개의 추세선을 동시에 그려두고 분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주가가 지지선을 타고 오르다가 어느 순간이 되면 지지선을 깨고 하락하기 시작한다. 바로 이런 타이밍이 주식을 매도해야 하는 시점이다. 지지선을 아래로 강하게 뚫고 하락하는 순간이라면 보유 중인 주식은 매도하고, 매수는 자제하는 것이 좋다. 반대로 매수는 저항선을 위로 뚫고 상승하는 시점에 하면 된다. 지지선 부근에서 이제는 바닥이라는 심리가 강해진다면 주가는 지지를 받고 상승을 시작한다. 이렇게 상승을 시작하는 시점은 동시에 그동안 주가의 상승에 저항하고 있던 저항선을 위로 뚫고 올라가는 시점이 되며 매수는 이런 타이밍에 하면 된다.
다시 말해 추세선을 이용한 매매는 지지선의 지지를 받은 다음, 저항선을 뚫고 올라가는 시점에서 매수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승을 시작한 주가는 다시 지지선의 지지를 받고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지지선을 아래로 뚫고 하락하기 시작하면 매도하면 된다.
끝으로 항상 자신의 투자 기간에 따른 지지선과 저항선의 기간을 정해야 한다.
가급적 주가의 움직임을 예측하지 않았으면 한다. '이 정도면 바닥이니 상승하겠지...'라는 예상으로 매수하는 것이 아니다. 확실히 저항선을 뚫고 올라가는 모습을 보면서 매수해야 한다. 그리고 오늘의 주가가 최근 단기 지지선에 근접했다고 해서 섣불리 매수해서도 안 된다. 오늘의 주가를 지지하는 단기 지지선은 기간이 짧은 만큼 지지할 수 있는 힘이 적기 때문이다. 지지선은 지지했던 기간이 길어질수록 힘이 강해진다.
추세선 분석을 통한 활용 방법
1. 차트에서 지지선과 저항선을 그린다.
2. 저항선을 위로 뚫고 상승하면 상승추세로 이해하고 매수한다.
3. 지지선을 아래로 뚫고 하락하면 하락추세로 이해하고 매도한다.
4. 지지선이나 저항선 부근에 주가가 위치해 있을 때에 미리 예상하지 않고, 보이는 현상만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용어) 추세선 : 주가가 일정 기간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려는 힘에 의해 움직일 때, 이 주가들의 저점이나 고점들을 연결한 선이다.